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규격을 말하며 ISO9001과 더불어 조직의 경영시스템 인증분야의 대표적인 규격중의 하나이다. 이 규격은 조직의 제품 및 프로세스에 대하여 지속적인 환경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을 요구하고 있으며, 구축된 시스템이 규격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제 3자(인증기관)로부터 객관적인 심사를 거쳐 인증을 취득하는 제도이다. 현재 국제적인 통상에 있어 품질경영시스템 뿐만 아니라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요구가 전 산업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며 일부 산업분야에서는 강제적인 요구로 사업기회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규격은 제조, 건설, 서비스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방 자치 단체와 같은 공공 서비스 분야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모든 규모의 조직에 적용된다.
필요성 및 효과
ISO14001:2015는 사회·경제적 균형과 변화하는 환경조건들에 대응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틀을 조직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 것은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하여 의도한 성과를 조직이 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의 실행으로 조직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국제적인 모델의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이라는 자긍심과 강한 동기 부여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방지 및 환경 보호
준수의무에 대한 적합
환경성과 강화
환경적으로 건강한 대안을 실행함으로써 재정적, 운영적 이익
조직의 환경요건이 가진 잠재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
폐기물 및 에너지 소비 최소화를 통한 직접비용 절감
환경성과 강화 및 개선을 통한 환경 문제점 해결
환경경영을 통하여 제품 경쟁력 강화
비상사태 발생 시 대응력 향상
대내외적인 기업 이미지 및 신뢰도 향상과 시장 점유율 확대
공공/지역사회와 좋은 유대관계유지
제품 판매 및 외부 납품 시 요구되는 인증기준 만족
환경업무에 신중을 기하고 있음을 입증
개발촉진, 환경문제 해결방법 공유
산업계와 정부간의 관계 개선
PL(제조물책임)법 시행에 대한 대응
ISO 14001의 PDCA 사이클
환경경영체제는 위에〈그림〉과 같이 계획(Plan), 실행(Do), 확인(Check), 개선(Action) 등 P·D·C·A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계속적인 반복시행이 환경성과발전의 핵심인 것이다. 여기에서 나타낸 환경경영체제 운영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ISO 14001 운영의 핵심 내용
[결의 및 방침설정] 조직은 경영자의 결의를 바탕으로 환경방침을 제정한다. 환경방침을 통해 기업활동과 관련된 환경성과 개선과 천연자원의 보존 및 보호에 대한 조직의 결의를 공표한다.
[목표 및 계획 수립] 환경방침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목표 및 구체적인 환경경영 추진계획을 수립한다. 이 과정에서는 조직의 일상업무 등 조직활동 전반에 걸쳐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다.
[실행 및 운영] 조직체제와 자원을 활용하여 수립된 추진계획을 실천한다. 이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실천기법에 관한교육훈련을 실시한다.
[측정 및 평가] 조직은 계획단계에서 설정된 목표 및 세부목표를 기준으로 조직의 환경경영 성과를 측정·감사·검토한다.
[검토 및 개선] 조직은 전반적인 환경성과의 개선을 실현할 수 있도록 경영자가 환경경영체제를 검토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전 과정(Life Cycle) 관점
조직이 의도한 바와 다르게 환경영향이 전과정(life cycle)의 다른 단계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과정 관점을 활용하여 조직의 제품 및 서비스가 설계, 제조, 유통, 폐기되는 방식을 관리하거나 영향을 미치도록 하여야 한다.
전과정은 원자재(원료) 취득 또는 천연자원으로부터의 생성에서 폐기처리까지의 연속적이고 서로 연결된 제품(또는 서비스) 시스템의 단계로서 활동,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여, 조달된 제품과 서비스나 제품의 폐기처분, 서비스 제공(디자인, 제조, 운송, 포장, 최종용도(end-use)나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